전셋값 더 오를텐데 필살기 아껴야죠 세입자들 꽁꽁 아껴둔 이것
전셋값 더 오를텐데 필살기 아껴야죠 세입자들 꽁꽁 아껴둔 이것
수도권 아파트에 전세로 거주하는 세입자들의 갱신 계약이 늘고 있는 가운데 계약갱신 청구권을 사용한 비율은 최근 들어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유독 서울 아파트에서 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전셋값이 내년에 더 오를 것이란 전망 때문에 단 한 번뿐인 계약갱신 청구권 사용을 아껴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을 바탕으로 올 들어 이뤄진 전세 거래를 전수 분석한 결과 갱신 계약을 하는 비중은 최근 들어 높아지고 있다.
11월 수도권 아파트 전체 전세 거래 2만3890건 중 갱신 계약은 6803건으로 28.5%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높은 비중이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전셋값이 급락하면서 세입자들은 갱신 계약을 하기보단 더 저렴하면서 상급지인 곳을 찾아 이사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7월 들어 전셋값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살던 집에 그대로 사는 갱신 계약을 택하는 가구들이 늘어났다.
tjdnf 아파트 전세 갱신 계약 비중은 지난 3월 25.2%까지 떨어졌지만 서울 아파트의 경우 11월 갱신 계약 비중이 32.2%로 올해 들어 처음 30%를 넘어섰다.
나머지 54%는 신규 계약, 13.8%는 계약 유형을 확인할 수 없는 거래였다.
수도권 아파트 갱신 계약 비중은 11월 28.5%로 역시 올해 들어 가장 높다.
하지만 계약을 갱신하면서 계약갱신 청구권을 사용한 비중은 11월 들어 오히려 하락했다.
계약갱신 청구권은 2년 임차 계약 만기 뒤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계약갱신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이다.
특히 계약갱신 때 임차료 상승률은 5% 이내로 제한된다.
11월 서울 아파트 갱신 계약 2889건 중 임차인이 계약갱신 청구권을 사용한 비중은 32.7%(945건)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계약갱신 청구권 사용 비중은 6월에서 10월까지 36~38% 수준이었다. 11월 들어 갑자기 3%포인트 이상 줄어든 것이다.
수도권 전체로 봐도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비중은 11월 들어 낮아졌다.
이는 내년 이후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세입자들이 계약갱신 청구권을 아껴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금도 전셋값이 상승세여서 계약갱신 청구권을 쓸 수는 있지만 내년 이후 전셋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우려에 세입자들이 일단은 계약갱신 청구권 없이 갱신 계약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매매 수요의 전세 전환, 신축 입주 물량 부족, 전세 사기 사태에 따른 아파트
쏠림 현상 등으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내년 더욱 오를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아직 전셋값이 2년 전 전고점
수준에 도달하진 않은 만큼 세입자들이 나중을 위해 계약갱신 청구권 사용을 자제하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특히 내년 신축 입주 물량 부족은 전셋값 상승을 더욱 부추길 것으로 예측된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 아파트
신축 입주 물량은 총 1만1376가구로 올해(3만470가구)의 3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진다. 그만큼 임대 공급량도 줄어드는 것이다.
세입자들은 전셋값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2021년 말~2022년 초 사이 수준까지 오를 때 본격적으로 계약갱신 청구권을 사용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