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길때문에 불편했는데 영등포 용산 신촌 완전히 바뀐다

철길때문에 불편했는데 영등포 용산 신촌 완전히 바뀐다

철길때문에 불편했는데 영등포 용산 신촌 완전히 바뀐다

철길때문에 불편했는데 영등포 용산 신촌 완전히 바뀐다

둔촌주공 재건축 올림픽파크포레온 공사 다시 한번 중단

서울시 ‘지상철도 전 구간 지하화’ 계획의 핵심은 역사·역세권 복합개발이다.

서울시는 지하화 후 역사용지(171.5만㎡)는 업무·상업·문화시설 등으로 복합 개발해

사업비를 조달하고, 선로용지(122만㎡)는 대규모 선형 녹지공원으로 조성한다는 ‘투트랙 개발’을 들고 나왔다.

역사부지를 종상향 후 고층 복합개발을 통해 개발이익을 환수해 25조6000억원에 달하는 지하화 비용을 충당하겠다는 것이

핵심이지만 사실상 고갈되다시피한 서울 도심내 주택용지를 확보하는 효과도 볼수 있다.

철도역 지하화 후 상부에 주택을 조성하게 될 경우, 토지비 등을 절감하면서 초역세권 주택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역사를 제외한 철길이 지나는 선로의 경우 복선 구간 등 비교적 넓은 곳을 제외하곤 대부분 좁고 기다란 ‘선형’이라 주변에 판매할 수 있는 땅이 많지 않다.

아울러 기존 철로 주변은 이미 주택과 건물 등이 밀집한 곳이 많아 이들까지 수용해서

개발을 추진하기 쉽지 않은 점도 철로 상부 공간 대부분을 ‘연트럴파크’와 유사한 숲길과 공원으로 쓰겠다고 발표한 이유이기도 하다.

미국 일본 등은 철도 지하화를 하면서 차량기지 주변 단거리 구간(2~5km)에서만 주로 진행했다.

정성봉 한국과기대 교수는 “전체 선로를 포함한 대규모 철도 지하화는 해외에서도 쉽게 추진하기

어려웠던 프로젝트”라며 “성공한다면 주변 교통과 부동산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시가 공식 발표한 철도 지하화 추진 구간은 도심 중앙 ‘서빙고역’을 기준으로 경부선 일대와 경원선 일대 등 총 2개 구간의 6개 노선이다.

경부선(서울역∼석수역), 경인선(구로역∼오류동역), 경의선(가좌역∼서울역)

경원선 일부(효창공원앞역∼서빙고역), 중앙선(청량리역∼양원역), 경춘선(망우역∼신내역) 노선이다.

이 구간에 위치한 철도역은 39개에 달한다. 시는 역사와 주변 철로 용지 지하화를 통해 생기는 개발 가능한 땅이 104만1000㎡로 추산된다며

매각을 전제로 복합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역에 오피스와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을 함께 짓는 복합개발을 추진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경제거점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사업성을 확보하기 일부 역세권은 일반상업지역이나 준주거 종상향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개발업계에서는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역(남부·북부), 신촌역 등이 거점역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용적률 1500% 이상(100층 안팎)의 초고밀 개발도 가능한 ‘한국형 화이트존(입지규제 최소 구역)’인 공간혁신구역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와 개발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공간혁신구역 제도와 철도 지하화, 복합터미널 개발 등 다른 정책사업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