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첨되게 해주세요 청년들 몰려간 이곳 어디
당첨되게 해주세요 청년들 몰려간 이곳 어디
주택 분양가와 전월세 가격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청년들의 주거 부담이 심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제공하는 청년안심주택이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떠오르며 관심을 받고 있다
서울 지역 분양가는 지속해서 상승세를 보인다
주택도시보증공사 HUG가 발표한 2025년 1월 민간 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의 3.3㎡ 1평당 분양 가격은 4405만5000원으로 측정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18.84 698만2800원 높아진 금액이다
임대 시장 상황도 유사한 추세를 나타낸다
한국부동산원 데이터를 살펴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금은 2023년 5월 5억1072만원에서 올해 1월 5억6218만원으로 20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세 시장의 가격 상승으로 월세 수요가 증가하면서 월세 역시 2023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21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청년층의 주거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시중 가격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되는 청년안심주택이 주거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청년안심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서울시가 공급하는 공공 민간임대주택이다
지하철역 주변과 주요 도로변을 중심으로 공급되며 주변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가 장점으로 꼽힌다
공공임대의 경우 주변 시세의 30 70% 수준, 민간임대는 특별공급이 시세의 75%, 일반공급은 시세의 85% 수준으로 임대료가 설정된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청년안심주택은 높은 경쟁률을 기록 중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 SH공사 자료에 따르면 작년 1차 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 입주자 모집에서는 541가구 모집에 4만6631명이 신청해 평균 86.1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차에서는 581가구에 5만6555명이 지원해 평균 97.34대1, 3차에서는 1044가구에 6만3161명이 몰려 평균 60.3대1의 치열한 경쟁률을 보였다
청년안심주택 신청 자격은 공고일 기준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 결혼 7년 이내 또는 해당 주택 입주 전까지 혼인을 증명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일반공급으로 지원할 수 있다
소득과 자산 기준까지 충족한다면 특별공급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청약통장은 필요 없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높은 청약 경쟁률이 보여주듯 청년층의 주거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청년안심주택은 우수한
위치에 임대료 경쟁력도 갖추고 있어 재정적 여유가 부족한 청년 신혼부부들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시는 올해 서울 전역에 26곳 총 8050가구의 청년안심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 중 공공임대는 2584가구, 민간임대는 5466가구로 구성된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전체 공급량의 절반을 넘는 15곳 5102가구가 입주자를 모집한다
이 중 공공임대는 1830가구, 민간임대는 3272가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