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사 비용 아끼기 셀프 등기 선택하는 사람들
법무사 비용 아끼기 셀프 등기 선택하는 사람들
셀프 등기, 단어 자체만으로도 요즘 사람들이 얼마나 발 빠르게 변화에 적응하는지 엿볼 수 있는 트렌드다.
높은 금리와 치솟는 물가 속에 집 한 채 마련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그런데도 우리의 일상은 계속된다.
집을 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대비용그중에서도 특히 법무사 비용을 줄이기 위해 많은 이들이 소유권 이전 등기를 스스로 처리하는 방법, 이른바 셀프 등기를 선택하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이 지난 3월 8일 기준으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이 현상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2월 한 달 동안 셀프 등기 건수는 무려 4287건에 달했으니,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64.5%나 늘어난 셈이다.
더 흥미로운 점은 3월 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있다는 것.
앞으로 이 숫자는 더 올라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올해 1월만 해도 셀프 등기 건수는 겨우 2634건에 불과했지만, 바로 다음 달 4000건을 훌쩍 넘으며 가파르게 늘어났다.
이러한 상승세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사실 셀프 등기가 월 4000건을 초과한 것은 지난 2021년 1월 5822건 이후 약 2년 만의 일이다.
게다가 전체 소유권 이전 등기에서 셀프 등기가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증가 중이다.
작년 12월까지만 해도 0.62%에 그쳤던 비율이 올해 2월에는 0.84%, 그리고 3월 초 기준으로는 0.85%까지 오르며 조금씩 그 자리를 넓혀가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왜 이렇게 셀프 등기에 열광할까?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되는 것이 바로 비용 절감이다.
집값이 올라갈수록 법무사 수수료도 덩달아 비싸지기 때문이다.
통상 주택 매매가의 약 0.1% 정도가 법무사 수수료로 책정되는데, 대한법무사협회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적용해보면 단순 수수료만 약 117만 4890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여기에 기본 보수와 부가가치세, 각종 대행비용까지 포함하면 총비용은 약 159만 원으로 치솟는다.
이런 상황에서 셀프 등기로 그 비용 전체를 절약할 수 있다면, 선택지가 명확해질 수밖에 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법무사 비용 절감에 그치지 않고 공인중개사를 거치지 않은 직거래까지 활성화되면서 비용 부담을 줄이는 움직임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을 들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의원실의 발표에 따르면, 당근마켓에서 이뤄진 부동산 직거래 건수가 2022년 7094건에서 지난해에는 2만3178건으로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심지어 2023년에는 이미 더 큰 숫자를 기록하며 이러한 흐름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결국 셀프 등기는 단순히 비용 문제를 넘어서 새로운 세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되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경제 상황에 맞는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질문은 이것이다.
나도 셀프 등기를 해볼 준비가 되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