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 완화 효과 톡톡 서울 아파트 거래량 3월 급등
부동산 규제 완화 효과 톡톡 서울 아파트 거래량 3월 급등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면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신고 기준으로 1만6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7월 2단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이 연기되며 거래가 급증했던 시기의 9,226건을 뛰어넘는 숫자다.
또한 2020년 7월 기록했던 1만1,154건 이후 약 4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거래량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2021년 하반기 금리 인상 시작 이후 급격히 거래량이 줄어들었다.
특히, 2022년 하반기에는 두 차례의 ‘빅스텝’ 금리 인상으로 월 거래량이 1,000건에도 못 미치는 상황을 맞았다.
이후 고금리와 전세 사기의 여파로 거래 부진이 지속됐으며, 지난해 9월 대출 규제가 강화된 이후로도 거래량은 3,000건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지난 2월 강남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그달 거래량이 약 6,562건으로 증가했고, 3월에는 9,000건을 초과하며 대폭 상승했다.
하지만, 3월 24일부터 서울시가 강남 3구와 용산구를 다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하면서 아파트 거래량은 다시 감소해 전달 거래량의 절반 수준인 4,941건으로 집계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확대 지정 이후 전반적인 거래량과 상승 거래 비중은 줄었으나
강남 일부 지역과 마포, 용산, 성동구 등 인기 지역에서는 오히려 상승 거래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지정한 새로운 토지거래허가구역 이후
거래된 아파트 중 56%가 이전 해제 기간(2월 13일~3월 23일)보다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는 전체적으로 거래량은 감소했지만 상승 거래 비중이 오히려 늘었다.
강남구의 경우 해제 기간 동안 상승 거래 비중이 71%였으나 지정 이후에는 73%로 상승했고, 서초구는 75%에 이르렀다.
이처럼 거래 부진 속에서도 재건축 단지나 고가 아파트는 높은 가격으로 매매됐다.
예를 들어, 신현대 11차의 전용면적 183.41㎡는 지난달 말 약 99억5천만 원으로 역대 최고가에 거래됐다.
또한, 한양 1차 전용면적 78.05㎡는 60억 원에, 현대 8차의 두 평형인 111.5㎡와 163.67㎡는 각각 56억5천만 원과 75억 원에 매매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반면 송파구는 해제 기간 동안 상승 거래 비중이 가장 두드러졌던 지역인데, 확대 지정 이후에는 상승 비중이 감소하며 77%에서 66%로 줄어들었다.
강북 인기 지역의 상황도 유사하다. 마포구는 해제 기간 중 상승 거래 비중이 62%였으나 지정 이후에는 70%로 증가했고
성동구는 같은 기간 동안 59%에서 64%, 용산구는 62%에서 67%, 양천구는 60%에서 70%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프롭테크리서치랩장은 이달 초 강남권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다시 커지며
최근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이후 소강 상태를 보였던 시장이 점차 활기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있을 수 있지만
금리 인하와 공급 부족 우려로 인해 하반기에도 서울 아파트 값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