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시끼리 뭉치더니 잘 나가는 이 나라
지방도시끼리 뭉치더니 잘 나가는 이 나라
GTX는 나라 안가리고 만능열쇠? 런던 교외도 새집 짓기 들썩
일본 오사카시는 내년 4월 열리는 간사이·오사카 박람회 준비에 한창이다.
행사가 열리는 오사카만 유메시마에는 전시장과 종합리조트가 개발 중이고, 간사이광역연합본부 건물은 늘어날 국제행사를 대비해 리모델링 공사로 분주하다.
2010년 오사카·교토·고베를 비롯한 간사이(關西) 지자체들이 의기투합해 출범한 간사이광역연합은 박람회를 지역 재도약의 기회로 보고 있다.
연합은 90조원을 투자해 도쿄~오사카 자기부상열차를 만들고, 오사카만을 기업과 주택단지, 리조트와 콘서트홀까지 밀집한 ‘직·주·락(職·住·樂) 구역으로 개발하고 있다.
세계에서 벌어지는 도시 광역권 경쟁은 런던·파리 같은 수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간사이(일본), 맨체스터(영국), 슈튜트가르트(독일)처럼 각 나라에서 비수도권 핵심부를 맡던 2~3위 도시들이 메가시티 광역권(Mega City Region)을 만드는데 더욱 열심이다.
이들 도시가 메가시티에 관심인 이유는 수도권 집중이 심해지면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간사이광역연합에 따르면 간사이의 일본 내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1970년대 20.1%에서 1980년대 18.0%, 1990년대 17.6%로 하락했고 2017년 15.8%까지 낮아졌다.
상장기업의 권역별 본사 갯수 지역별 비중도 2004~2015년 도쿄권이 5.32%포인트 높아진 반면, 간사이권역은 5.20%포인트 낮아졌다.
영국 맨체스터 역시 제조업이 쇠퇴하며 도시경제가 어려워진 가운데, 중앙정부 지원 순위에서도 런던을 포함한 남부지역 도시에 늘 밀렸던 것이 맨체스터 광역연합 출범 계기가 됐다.
메가시티 광역권 추구방식도 수도권과 사뭇 다르다.
수도권이 인구과밀, 교통혼잡, 폐기물처리처럼 도시문제 관리 성격이 강한 반면
이들은 거점도시 활용, 특색있는 산업구조로의 재편에 초점을 맞춘다.
중앙정부와 협상해 주거, 교통, 경제에서 권한을 확대하려 한다.
금창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수도권과 독립적인 특성을 강화해 이들에 대항하는 핵심 권역을 만드는게 간사이연합 등의 설립 목적”이라고 밝혔다.
간사이나 맨체스터 같은 ‘제2수도권’은 도시경제학 관점에서도 긍정적이다. 경제학자 앨런 에번스(Alan Evans)가 도시 집적에 관한 연구를 통해
내놓은 ‘에번스 모형’에 따르면 도시화 초기에는 규모의 경제로 얻는 효과가 크다.
기업경영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가 모여 경쟁과 최적화가 이뤄지고, 공급이 충분해지면서 생산단가도 내려가기 때문이다.
심교언 국토연구원 원장은 “수도권이라는 단일 메트로폴리스만으로는 국가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우리도 국토 균형개발이라는 명제를 놓지 않는 대신,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 도시가 메가시티에 관심인 이유는 수도권 집중이 심해지면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다.
상장기업의 권역별 본사 갯수 지역별 비중도 2004~2015년 도쿄권이 5.32%포인트 높아진 반면, 간사이권역은 5.20%포인트 낮아졌다.
영국 맨체스터 역시 제조업이 쇠퇴하며 도시경제가 어려워진 가운데
중앙정부 지원 순위에서도 런던을 포함한 남부지역 도시에 늘 밀렸던 것이 맨체스터 광역연합 출범 계기가 됐다.
메가시티 광역권 추구방식도 수도권과 사뭇 다르다.
수도권이 인구과밀, 교통혼잡, 폐기물처리처럼 도시문제 관리 성격이 강한 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