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보니 그저 한숨만 푹푹 서울 아파트 ㎡당 2000만원 육박

가격보니 그저 한숨만 푹푹 서울 아파트 ㎡당 2000만원 육박

가격보니 그저 한숨만 푹푹 서울 아파트 ㎡당 2000만원 육박

가격보니 그저 한숨만 푹푹 서울 아파트 ㎡당 2000만원 육박

입주 앞두고 웬 날벼락 중견 건설사 줄도산 공포에 계약자 피해 우려

서울 분양가가 ㎡당 2000만원 시대를 목전에 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 내 분양 사업장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몰리면서 평균 분양가를 급격히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8일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서울에서

신규 분양한 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전용면적 기준)는 1997만원으로,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3.6% 상승한 수준이다.

서울의 분양가는 지난해 급격히 뛰었다. 2021년 초 1100만원대였던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는 지난해 1월 처음으로 1500만원을 넘어섰다.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더니 지난해 말에는 평균 1997원까지 치솟았다.

이는 서울 분양이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집중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해 강남 3구에서는 서초구 ‘메이플자이’를 비롯해 ‘래미안 원펜타스’, ‘청담 르엘’,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등 9개 단지가 공급됐다.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해 분양가가 가장 높은 사업장이 서울 광진구에 위치했다는 점이다.

주인공은 ‘포제스한강’으로, ㎡당 평균 분양가가 4029만원에 달했다.

이는 강남구(2948만원)와 서초구(2712만원), 송파구(2359만원) 등 강남 3구 평균 분양가를 아득히 넘어선 수준이다.

㎡당 전국 평균 분양가는 776만원을 기록했다. 시도별 작년 11월 대비 12월 평균 분양가 상승률은 경남이 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북 3.4%, 대구 1.5%, 서울 1.1%, 제주 0.6%, 충북 0.5%, 광주 0.4%, 부산 0.3%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울산과 전북은 보합을, 대전(-0.4%), 전남(-0.6%), 충남(-0.8%), 강원(-1.1%), 경기(-1.5%), 인천(-2.6%) 지역은 하락했다.

한편, 경기도에서는 과천시가 평균 1700만원을 넘어서며 서울과 비슷한 수준의 ㎡당 분양가를 기록했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 수영구가 1447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대구 수성구와 부산동구가 평균 1000만원을 웃돌았다.

전국 최저 분양가를 기록한 지역은 전남 장흥으로, 평균 362만원에 불과했다.

7일 국내 30대 건설사(국토교통부 시공능력 순위 기준) 중 지난해 3분기 분기보고서를 공시한 23곳의 부채비율을 전수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11개 업체의 부채비율이 20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23개 건설사 중 부채비율이 400%를 초과한 업체도 3곳에 달했다.

부채비율(자본총계 대비 부채총계 비율)은 100% 이하가 이상적이다. 건설업계에서는 투자금 회수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특성을 고려해 통상 부채비율 100~150%는 안정적으로 평가한다. 다만 200%를 넘어가면 위험 수준으로 본다.

부채비율이 400%를 넘기면 ‘잠재적 부실 징후’로 판단한다. 태영건설(부채비율 747.7%), 금호건설(640.5%), 코오롱글로벌(559.6%) 등이 해당한다.

법정관리를 신청한 신동아건설이 부채비율 400%를 넘었다.

문제는 앞으로도 건설사들의 실적 개선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미분양 증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공사비 급등, 수주 가뭄 등 온갖 악재가 터진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커지면서 올해 최악의 줄부도 사태를 맞을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온다.

Read more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강북 지역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도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집값 상승과 함께 분양가도 오를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공사비 부담을 상쇄하고

By 관리자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공사비만 1조 원에 달하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권을 두고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최종적으로 시공권을 확보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조합은 22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결정했다. 조합원

By 관리자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18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6단지에는 이른 평일임에도 중개업소에 1~2명의 손님이 방문한 모습이 보였다. 손님이 없는 업소에서도 열린 문틈으로 전화 통화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