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천 아파트값 16개월만에 반등

서울 인천 아파트값 16개월만에 반등

서울 인천 아파트값 16개월만에 반등

서울 인천 아파트값 16개월만에 반등

상반기 서울 아파트 54% 역전세…평균 1억원 내줬다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 심리가 확대되는 가운데 지난 5월 서울과 인천의 아파트 가격이 16개월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집값 하락도 올해 들어 5개월 연속 둔화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22% 떨어졌다.

매매가는 지난해 12월 1.98% 하락한 이후 정부의 규제 완화에 힘입어 지난 1월 -1.49%, 2월 -1.15%, 3월 -0.78%, 4월 -0.47%로 5개월째 하락 폭이 줄고 있다.

서울의 주택 가격이 0.11% 내린 가운데 노원구(0.06%), 용산구(0.03%)가 상승 전환한 반면 강북구(-0.31%), 도봉구(-0.29%)는 하락세가 지속되는 등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경기(-0.24%), 인천(-0.12%)을 포함한 수도권은 0.18% 하락하며 낙폭을 줄였고, 5대 광역시(-0.42%)와 지방(-0.26%)도 전달에 비해 하락 폭이 축소됐다.

이런 가운데 서울과 인천의 아파트 가격이 월간 기준으로 16개월 만에 반등했다.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값은 전달에 비해 0.01% 올랐으며 이는 지난해 2월 하락 전환한 이후 처음이다.

인천 아파트값 역시 0.04% 올랐다.

앞서 서울과 인천 아파트값의 오름세는 주간 가격 조사에서도 확인됐다.

연립이나 다세대에 대한 선호도는 하락했지만, 아파트는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 속에 선호단지 중심으로 급매물이 소진되고 매물 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역전세가 나타난 전세시장도 가격 하락 폭이 줄었다.

지난달 주택가격동향을 보면 전세가격은 0.31% 내려 전월(-0.63%)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소형 아파트나 선호 단지 위주로 국지적 상승세를 보이며 하락 폭(-0.21%)이 전월(-0.62%)보다 줄었고, 수도권(-0.73% → -0.25%)과 지방(-0.53% → -0.37%) 모두 낙폭이 둔화했다.

다만 인천·경기는 매물이 적체되며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외곽지역이나 중저가 구축 위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지방은 공급 물량의 영향이 있는 지역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전국 월세가격도 -0.14%로 전월(-0.18%)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이러한 집값 추이는 주간 시세에서도 확인됐다.

부동산원이 이날 함께 발표한 '6월 2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해 전주(-0.02%) 대비 하락 폭이 소폭이나마 줄었다.

전국적으로는 하락세지만, 수도권은 0.02% 오르며 전주(0.01%)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다.

특히 서울이 0.03% 오르며 4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송파구(0.28%), 서초구(0.16%), 강남구(0.11%)는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고, 영등포구(0.01%)는 개발 기대 심리로 상승 전환했다.

강북도 은평구(0.04%), 광진구(0.01%) 등이 소형 위주 매물 소진 영향으로 상승 전환했으나, 노원구(-0.03%)는 구축 위주로 하락하는 등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지방(-0.03%)도 한주 전(-0.05%)보다 하락 폭이 축소됐다.

5대 광역시는 0.05% 하락하고, 세종은 0.17% 상승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 하락해 전주(-0.05%)보다 하락 폭이 줄었다.

이 같은 아파트 가격 추세에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도 다소 살아나는 모습이다.

지난 1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6.2로 한주 전(85.5)보다 0.7포인트 올랐다.

매매수급지수는 매수자와 매도자 중 누가 많은지를 보여주는 수치로, 100 이하면 매도자가, 100 이상이면 매수자가 더 많다는 의미다.

서울의 매매수급지수는 84.6으로 전주보다 0.7포인트 오른 것은 물론 지난 3월 6일 66.3을 찍은 이래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서울에서도 강남권이 84.1로 전주보다 1.5포인트 올라 다른 권역 대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Read more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강북 지역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도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집값 상승과 함께 분양가도 오를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공사비 부담을 상쇄하고

By 관리자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공사비만 1조 원에 달하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권을 두고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최종적으로 시공권을 확보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조합은 22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결정했다. 조합원

By 관리자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18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6단지에는 이른 평일임에도 중개업소에 1~2명의 손님이 방문한 모습이 보였다. 손님이 없는 업소에서도 열린 문틈으로 전화 통화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