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높은 재건축 부담금 서울선 1인당 4.5억 내는 곳도

여전히 높은 재건축 부담금 서울선 1인당 4.5억 내는 곳도

여전히 높은 재건축 부담금 서울선 1인당 4.5억 내는 곳도

여전히 높은 재건축 부담금 서울선 1인당 4.5억 내는 곳도

그린벨트 풀어도 입주까지 7년 넘게 걸린다는데

서울 한 재건축 단지는 조합원 1인당 ‘재건축 부담금’을 무려 4억5000만원이나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건축이 끝났거나 막바지 단계에 있는 서울 31개 단지가 내야 하는 부담금은 조합원 1인당 평균 1억6677만원 수준인 것으로도 파악됐다.

작년에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재초환)이 개정됐지만 여전히 높은 재건축 부담금이 서울 주택 공급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확보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재건축 부담금 부과예상 단지는 총 68곳이다.

이 중 수도권 아파트가 47곳, 지방 단지가 21곳이다.

현행 재초환법은 재건축 사업으로 생기는 초과이익 일부를 정부가 부담금으로 걷도록 한다.

재건축 부담금은 사업시행계획 인가 이후 지방자치단체가 앞으로 부과할 금액의 예상액을 추정해 각 단지에 통보한다.

작년 법 개정 이후 새롭게 산정된 단지별 재건축 부담금이 공개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은 총 31개 단지에 재건축 부담금이 부과될 예정이다.

해당 단지들의 조합원 1인당 평균 부과예상액은 약 1억6677만원이다.

서울 A단지는 조합원 1인당 부과예상액이 4억5000만원에 달하기도 했다.

또 다른 서울 B단지는 조합원 1명이 재건축 부담금 4억2000만원을 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1인당 부과예상액이 3억원 이상~4억원 미만인 서울 단지는 3곳, 2억원 이상~3억원 미만인 단지는 9곳, 1억원 이상~2억원 미만인 단지는 5곳이다.

작년에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법이 바뀌어 올해 3월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억소리’ 나는 부담금에 강한 반발이 나오고 있다.

반포센트레빌아스테리움(옛 반포현대)을 포함한 대상 단지 주민들이 구청이 요청한 서류 제출을 거부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정부는 이에 지난달 8•8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재초환 제도 폐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국재건축정비사업조합연대 관계자는 “수도권 재건축 단지들의 부담금은 여전히 억원대가 넘는다”며 “폐지를 강력하게 주장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담금이 부담된다며 사업을 반대하는 조합원, 폐지될 때까지 사업을 중단하자는 조합원이 있어

좀처럼 사업 속도가 나질 않는다”고도 비판했다. 대치 쌍용1·2차 같은 단지들도 이로 인해 사업 진행이 멈춘 바 있다.

경기에선 총 14개 단지에 재건축 부담금 예상액이 통보됐다.

이 중 2개 단지는 조합원 1인당 2억원 이상을 내야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포함해 1인당 부과예상액이 1억원을 넘어선 단지도 4곳이었다.

1기 신도시 재건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어 앞으로 더 많은 단지에 부담금이 부과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 일부 단지 주민들도 억대 부담금을 내야 하는 상황이다.

조합원 1인당 부과예상액이 1억원을 넘어서는 지방 단지는 총 5곳이다.

대전의 한 재건축 단지는 1인당 내야 하는 부담금이 3억1000만원으로 추산되기도 했다.

김은혜 의원은 “재건축 부담금은 2006년 도입 이후 주택 가격 안정이나 사회적 형평이라는 목적을 전혀 달성하지 못했다”며

“오히려 재건축 사업에 예측 불가능한 요소를 남겨 주택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나쁜 규제”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미 재산세 등 보유세 납부가 있음에도 예고된 과도한 부담금은 명백한 이중 부과”라며

“재건축 부담금을 폐지해 재건축 추진의 걸림돌을 제거하고 도심 내 주택 공급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Read more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분양가 오르자 고래들 움직이기 시작 재건축 시장 술렁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최근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강북 지역의 주요 재건축 단지들도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집값 상승과 함께 분양가도 오를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공사비 부담을 상쇄하고

By 관리자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HDC현산 용산정비창 1구역 개발권 쟁취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공사비만 1조 원에 달하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권을 두고 포스코이앤씨와 HDC현대산업개발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최종적으로 시공권을 확보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조합은 22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결정했다. 조합원

By 관리자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목동 재건축 O단지가 핫하다 신도시 규모 5만3000가구 돌파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18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6단지에는 이른 평일임에도 중개업소에 1~2명의 손님이 방문한 모습이 보였다. 손님이 없는 업소에서도 열린 문틈으로 전화 통화

By 관리자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7년 내내 100대 1 넘어 4세대 주상복합의 끝나지 않는 인기 대선이 바꾼 부동산 판도 한때 360 오른 동네 현재는? 분양 시장에서 '주상복합' 아파트의 인기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주상복합 아파트는 지난 2019년부터 최근까지 7년 연속 세 자릿수 청약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