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채의 집을 두고 24명이 뭉쳤다 경매장의 배신자 게임
한 채의 집을 두고 24명이 뭉쳤다 경매장의 배신자 게임
다가오는 대선을 앞두고 세종시의 부동산 시장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세종시 아파트 값을 비롯해 경매시장에서도 주거시설의 인기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는 모습인데요.
특히 경매를 통해 세종시 부동산에 새 주인이 생기는 사례가 늘어나며 이 지역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활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지옥션이 발표한 4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세종시 주거시설(아파트·빌라·단독주택) 낙찰률은 47.7%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한 달 전보다 20.1%포인트나 오른 수치로, 세종시 경매에 나온 매물 약 절반이 낙찰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상승세는 시장 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건 아파트 부문입니다.
세종시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82.3%로 올해 2월 이후 꾸준히 80%를 넘는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입찰 열기도 뜨거웠는데, 지난달 세종시 다정동 가온마을 12단지 전용 101㎡ 아파트 경매에는 무려 24명이 몰려 높은 관심을 입증했습니다.
이뿐 아니라 나성동 나릿재마을 5단지의 99㎡ 아파트는 감정가인 9억4천5백만 원을 넘어 9억4천5백51만 원에 낙찰되어 시장의 활황세를 보여주었습니다.
지지옥션은 보고서를 통해 “감정가의 절반 이하로 떨어진 단독주택 매물이 대부분 낙찰되면서 낙찰률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주로 1회 유찰된 매물이 빠르게 소진되면서 매수 분위기를 이끌었다고 합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또한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합니다.
지난해부터 약세를 이어오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지난달 둘째 주 처음으로 0.04% 반등하며 약 1년 5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이후에도 꾸준히 오름폭이 확대되어 셋째 주엔 0.23%, 넷째 주엔 0.49%, 이달 첫째 주 역시 0.40%의 상승률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도 경매시장 열기가 뜨겁습니다.
4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264건으로 전월보다 53% 증가했으며, 낙찰률 역시 소폭 상승해 44.3%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광진구와 동작구와 같이 강남권 접근성이 좋은 지역들은 낙찰률 100%로, 성동구는 낙찰가율이 무려 110.8%에 달하며 서울 전 지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전국적으로는 아파트 경매 건수가 3175건으로 전월 대비 약 10% 증가했지만, 낙찰률은 40.1%로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반면 낙찰가율은 87.3%를 기록하며 전월보다 2.2%포인트 올랐습니다.
이번 데이터를 통해 세종시와 서울, 나아가 전국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연적으로 큰 주목을 받는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더욱 많은 변화와 움직임이 기대됩니다.
세종시의 상승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