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쩔 수 없는 선택 오피스텔이 새롭게 주목받는 이유
어쩔 수 없는 선택 오피스텔이 새롭게 주목받는 이유
한 채의 집을 두고 24명이 뭉쳤다 경매장의 배신자 게임
올해 들어 서울의 오피스텔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영향을 받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덩달아 오피스텔 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KB부동산의 4월 통계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월에 보합세를 기록한 후 3개월간 계속 상승했습니다.
2월에는 0.06%, 3월에는 0.03% 상승하던 지수는 4월 들어 0.14%까지 올랐습니다.
서울 내에서 영등포와 구로, 금천구가 위치한 서남권 지역이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4월 기준으로 동남권과 동북권의 가격은 각각 0.04%와 0.08% 하락했지만, 서남권은 0.37% 상승했으며 도심권과 서북권 또한 각각 0.10%와 0.07%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서울의 이러한 상승은 수도권 전반의 오피스텔 가격 흐름과는 다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2월과 3월 연속으로 하락했지만, 4월에는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인천과 경기도의 경우는 각각 0.45%와 0.09% 하락했습니다.
이 현상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으로 인해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입니다.
강남 아파트 가격의 상승은 서울 외곽 지역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을 불러일으켰고,
이 기대가 비교적 저렴한 오피스텔이 많은 서남권과 도심권에 영향을 미치며 가격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입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에 따르면
“오피스텔은 아파트의 대체재로, 아파트 가격 급등 후
무주택자가 하나의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며 “아파트 청약 시 무주택자로 인정받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최근 금리 인하와 전세 사기 여파로 월세 수요가 증가하면서 오피스텔의 수익성도 높아졌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전년 대비 0.18% 증가한 4.77%로 나타났습니다.
서남권은 0.37% 상승했으며 도심권과 서북권 또한 각각 0.10%와 0.07%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서울의 이러한 상승은 수도권 전반의 오피스텔 가격 흐름과는 다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수도권의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2월과 3월 연속으로 하락했지만, 4월에는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인천과 경기도의 경우는 각각 0.45%와 0.09% 하락했습니다.
이 현상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으로 인해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입니다.
강남 아파트 가격의 상승은 서울 외곽 지역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을 불러일으켰고,
이 기대가 비교적 저렴한 오피스텔이 많은 서남권과 도심권에 영향을 미치며 가격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입니다.
한편, 서울에서는 빌라 시장 역시 매매가격지수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서울 연립 매매가격지수는 0.157% 상승했고, 같은 기간 단독 매매가격지수도 0.150% 올라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