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떨어졌다더니 까보니 아니네 종부세 대상 3만6천가구 늘었다

집값 떨어졌다더니

집값 떨어졌다더니 까보니 아니네 종부세 대상 3만6천가구 늘었다

집값 떨어졌다더니 까보니 아니네 종부세 대상 3만6천가구 늘었다

분양상가 대출 축소에 잔금대란 공포

올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소폭 오르면서 주택 보유자들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부담도 조금 오를 전망이다.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2020년 수준인 69%로 동결했지만

지난 1년간 집값(시세)이 조금 올랐기 때문이다. 보유세 부담이 조금 늘어나긴 했으나, 여전히 2020년 수준보다는 크게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납부대상은 26만7061가구(전체 가구의 1.75%)로, 지난해(23만1391가구·1.56%)보다 3만5670가구(15.4%)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공시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이날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공시가격안을 보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보다 평균 1.52% 올랐다.

특히 종부세 납부대상인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서울의 공시가격은 3.25% 상승했다.

우병탁 신한은행 압구정역기업금융센터 부지점장이 이날 국토부가 공개한 전국 공동주택 1523만가구의 공시가격을 토대로 올해 보유세 부담을 모의 계산해본 결과

대다수 주택의 보유세 부담이 지난해보다는 소폭 늘어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우 부지점장은 “지난해 대비 올해 주요 아파트 시세가 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시가격은 매년 1월 1일 기준 시세를 바탕으로 산정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도권 공동주택 실거래가지수는 1년 전보다 약 4.4% 상승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면적 84㎡를 보유한 1주택자가 올해 내야 할 보유세 총액은 약 942만원으로, 지난해(834만원)보다 108만원 가량 늘어난다.

해당 주택의 공시가격이 지난해 22억46000만원에서 올해 24억300만원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세 부담이 조금 늘긴 했지만 여전히 2020년 수준(약1250만원)보다는 약 25% 적은 금액이다.

보유세 부담은 문재인 정부 시기 집값급등과 공시가격 현실화율 정책에 따라 2020년부터 급격히 늘어난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 시세하락과 함께 윤석열 정부가 현실화율 계획을 적용하지 않은 덕분에 보유세 부담도 크게 낮아진 바 있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를 가진 1주택자는 보유세 부담이 지난해 439만원에서 올해 581만원으로 142만원(32.3%) 가량 늘어난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 보유 1주택자는 1058만원에서 1135만원으로 약 77만원(7.3%) 증가한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84㎡ 경우 올해 보유세(254만원으로)가 전년(243만원)보다 11만원만 오를 전망이다.

공시가격이 오르긴 했으나 여전히 1주택자 종부세 공제액(12억원) 이하인 11억6400만원으로 산정돼, 종부세가 단 한푼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공시가격이 공제액(12억원)을 넘어 올해부터 다시 종부세를 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84㎡를 보유한 1주택자가 대표적이다.

지난해엔 공시가격이 11억6600만원으로 공제액(12억원)에 미치지 못해 종부세 없이 재산세만 274만원 냈지만

올해는 공시가격이 공제액 한도를 초과한 14억200만원으로 책정되면서 종부세 38만원을 포함해 총 325만원을 보유세로 내야 한다.

다주택자 역시 서울에 주택을 보유했다면 보유세가 조금 늘어나지만, 마찬가지로 2020년 수준엔 못 미칠 전망이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 푸르지오’ 전용 84㎡와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84㎞를 동시에 보유한 2주택자는 올해 보유세를 총 1787만원 내야 한다.

지난해(1526만원)보다 260만원 늘어난 것이지만, 3058만원을 냈던 2020년과 비교하면 62% 감소한 금액이다.

답글 남기기